한국학 공동연구총서

전통 구비문학과 근대 공연예술 1: 연구편


저자명
서대석 외
출판사
서울대학교출판부
발행일
2006
연 번

공동연구총서 08-01

목차

    머리말 = ⅶ
    Ⅰ. 총설 = 1
    Ⅱ. 근대 초창기 공연 집단의 계통들에 대한 연구 / 손태도 = 9
    1. 머리말 = 11
    2. 전통 사회의 공식적 공연 집단 = 14
    2.1. 광대 집단 = 15
    2.2. 기생 집단 = 26
    3. 전통 사회의 유랑 집단 = 31
    3.1. 사당패 계통 = 31
    3.2. 풍각쟁이 = 33
    4. 평민 집단 = 34
    4.1. 잡가패 = 34
    4.2. 선소리 산타령패 = 40
    5. 근대 사회와 전통적 공연물 = 43
    6. 맺음말 = 45
    Ⅲ. 1900~1910년대 극장무대 전통 공연물의 공연양상 연구 / 정충권 = 47
    1. 머리말 = 49
    2. 1900~1910년대 전통 공연물의 공연유형 = 51
    3. 전통 공연물 공연자, 공연종목, 공연방식 = 56
    3.1. 공연자 = 56
    3.2. 공연종목 = 59
    3.3. 공연방식 = 65
    4. 전통 공연물에 대한 관객의 반응 = 72
    5. 1900~1910년대 전통 공연물의 공연사적 의의 = 79
    6. 맺음말 = 84
    Ⅳ. 전통재담과 근대 공연재담의 상관관계 / 서대석 = 87
    1. 머리말 = 89
    2. 재담의 개념과 범주 = 91
    3. 재담의 시원과 조선조 문인층 재담 = 94
    4. 개화기 재담집에 수록된 재담의 성격 = 101
    4.1. 앙천대소(仰天大笑) = 102
    4.2. 소천소지(笑天笑地) = 108
    4.3. 팔도재담집 = 117
    5. 근대의 공연재담: 만담 = 133
    5.1. 박춘재의 재담소리 = 135
    5.2. 신불출의 만담 = 160
    5.3. 김윤심의 만담 = 185
    5.4. 장소팔•고춘자의 민요만담 = 200
    5.5. 김영운•고춘자의 민요만담 = 207
    6. 전통재담과 공연재담의 관계 = 215
    7. 맺음말 = 225
    Ⅴ. 근대 초창기 잡가(雜歌)의 정체와 그 시가사적 의의 / 손태도 = 229
    1. 문제 제기 = 231
    2. ‘잡가(雜歌)’의 개념 = 238
    3. 1910~1920년대 잡가의 실제 = 241
    3.1 경기 잡가의 성립 = 241
    3.2. 선소리 산타령과 잡가 = 245
    3.3. 경•서•남도 민요와 잡가 = 247
    3.4. 잡가 시대의 가곡•시조•12가사 = 248
    4. 근대 초창기 잡가의 시가사적 의의 = 253
    5. 맺음말 = 256
    Ⅵ. 초기 창극(唱劇)의 공연형태 / 정충권 = 261
    1. 머리말 = 263
    2. 창극 형성의 조건 = 265
    3. 초기 창극의 공연형태 = 271
    4. 초기 창극의 위상 = 279
    5. 맺음말 = 282
    Ⅶ. 결론 = 285
    참고문헌 = 291
    부록: 근대 초창기 전통 공연물 공연일지 = 299
    찾아보기 = 3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