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연구총서

조선전기사학사연구


저자명
한영우
출판사
서울대학교출판부
발행일
1981
연 번

한국문화연구총서 22

목차

    머리말 = 1
    結論 = 7
    第一章 15世紀 官撰 史書 편찬의 추이
    1. 太祖代의 士大夫 중심 歷史敍述 = 16
    (一) 鄭道傳의 《高麗國史》 = 16
    (二) 鄭道傳의 文化意識과 事大政策 = 20
    2. 太宗代의 王權强化와 歷史敍述 = 25
    (一) 權近의 《東國史略》(三國史略) = 25
    (二) 河崙의 《高麗國史》 개찬 = 33
    3. 世宗·文宗代의 歷史敍述과 君臣의 갈등 = 35
    (一) 權제의 《東國世年歌》 = 35
    (二) 世宗代의 《高麗史》 개찬 = 39
    (三) 鄭麟趾의 《高麗全史》 = 45
    (四) 金宗瑞의 《高麗史節要》 = 49
    4. 世祖代의 專制君主的 歷史敍述 = 53
    (一) 權擥의 《應制詩註》 = 53
    (二) 世祖의 《東國通鑑》 수찬 = 59
    5. 成宗代의 歷史敍述과 勳臣·士林의 갈등 = 66
    (一) 申叔舟·盧思愼의 《高麗史節要》 = 66
    (二) 徐居正의 《東國通鑑》 = 72
    第二章 《高麗史》와 《高麗史節要》의 比較
    1. 編纂主體 및 體裁의 비교 = 85
    (一) 編纂主體의 비교 = 85
    (二) 頒布上의 갈등 = 88
    (三) 編纂體裁의 비교 = 90
    2. 歷史認識의 비교 = 94
    (一) 箋文에 나타난 高麗시대 認識의 비교 = 94
    (二) 凡例에 나타난 敍述原則의 비교 = 96
    (三) 敍述實例의 비교 = 100
    (四) 朝鮮建國史 敍述의 비교 = 110
    (五) 《高麗史》列傳의 新王的 性格 = 113
    (六) 史論의 비교 = 117
    3. 《高麗史》와 《高麗史節要》의 공통점 = 127
    第三章 《東國通鑑》의 編纂경위와 歷史敍述
    1. 世祖의 《東國通鑑》 편찬 = 137
    (一) 《東國通鑑》편찬배경 = 137
    (二) 《東國通鑑》편찬목적 = 142
    (三) 《東國通鑑》편찬과정 = 145
    2. 申叔舟·盧思愼의 《三國史節要》 = 154
    3. 《舊編東國通鑑》과 《新編東國通鑑》 = 164
    (一) 徐居正의 《舊編東國通鑑》 = 164
    (二) 《新編東國通鑑》 편찬배경 = 170
    4. 《新編東國通鑑》의 歷史敍述 = 180
    (一 敍述體裁 = 180
    (二) 敍述內容 = 188
    5. 《新編東國通鑑》의 史論 = 194
    (一) 史論의 종류 = 194
    (二) 史論에 반영된 歷史의식·文化의식 = 197
    6. 《東國通鑑》의 史學史的 意義 = 216
    第四章 16世紀 士林의 道學的 歷史敍述
    1. 朴祥의 《東國史略》 = 225
    (一) 朴祥의 家系와 行蹟 = 225
    (二) 《東國史略》의 內容 = 228
    2. 柳希齡의 《標題音註東國史略》 = 238
    (一) 柳希齡의 家系와 行蹟 = 238
    (二) 《標題音註東國史略》의 內容 = 239
    3. 朴世茂의 《童蒙先習》 = 251
    (一) 朴世茂의 생애 = 251
    (二)《童蒙先習》의 內容 = 252
    4. 李珥의 道德的 史論 = 257
    (一) 讀史論 = 257
    (二) 時勢論 = 260
    (三) 王覇論 = 261
    (四) 道統論 = 263
    (五) 國史觀 = 265
    (六) 《箕子實記》 = 267
    (七) 史學史的 意義 = 270
    結論 = 275
    [附錄]
    Ⅰ. 史學史關係 主要硏究論著 = 281
    Ⅱ. 史學史關係 主要資料 = 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