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 연구총서

조선 중기 무예서 연구: 『무예제보』『무예제보번역속집』 역주


저자명
나영일 외
출판사
서울대학교출판부
발행일
2006
연 번

연구총서 15

목차

    Ⅰ. 『무예제보(武藝諸譜)』와 『무예제보번역속집(武藝諸譜飜譯續集)』의 무예사적 의미
    1. 머리말
    2. 『무예제보』와 『무예제보번역속집』의 형성 과정
    3. 『무예제보』와 『무예제보번역속집』에 실린 무예의 종류와 내용
    1) 『무예제보』에 보이는 6가지 무예
    2) 『무예제보번역속집』에 보이는 5가지 무예
    4. 맺음말
    Ⅱ. 임진왜란 이후 단병 무예의 도입과 무예서 간행 추이
    1. 머리말
    2. 임진왜란 중 절강병법의 도입
    3. 『무예제보』의 편찬 과정
    4. 선조 후반기 『연병실기(練兵實紀)』 전술과 일본 검술의 도입
    5. 『무예제보번역속집』의 편찬과 거기보(車騎步) 전법의 완성
    6. 맺음말
    Ⅲ. 언해본 『무예제보』에 대하여
    1. 머리말
    2. 내용과 구성
    3. 국어학적 특징
    1) 체언
    2) 부사
    3) 수관형사
    4) 표기법
    4. 맺음말
    Ⅳ. 『무예제보(武藝諸譜)』 역주
    1. 곤(棍)
    1) 대봉제(大棒製): 대봉의 제작
    2) 곤보(棍譜): 곤을 익히는 보(譜)
    3) 곤보(棍譜) 언해
    2. 등패(藤牌)
    1) 등패제(藤牌製): 등패의 제작
    2) 패보(牌譜): 등패를 익히는 보(譜)
    3) 등패(藤牌) 언해
    3. 낭선(??)
    1) 낭선제(??製): 낭선의 제작
    2) 선보(?譜): 선을 익히는 보(譜)
    3) 낭선(??) 언해
    4. 장창전보(長?前譜)
    1) 장창제(長?製): 장창의 제작
    2) 장창전보(長?前譜): 장창을 익히는 전보(前譜)
    3) 장창전보(長?前譜) 언해
    5. 장창후보(長?後譜)
    1) 장창후보(長?後譜): 장창을 익히는 후보(後譜)
    2) 장창후보(長?後譜) 언해
    6. 당파(??)
    1) 당파제(??製): 당파의 제작
    2) 파보(?譜): 당파를 익히는 보(譜)
    3) 당파(??) 언해
    7. 장도(長刀)
    1) 장도제(長刀製): 장도의 제작
    2) 검보(劒譜): 검을 익히는 보(譜)
    3) 장도(長刀) 언해
    8. 기예질의(技藝質疑)
    9. 무예교전법(武藝交戰法)
    Ⅴ. 『무예제보번역속집(武藝諸譜飜譯續集)』 역주
    1. 권법(拳法)
    1) 권보(拳譜): 권법을 익히는 보(譜)
    2) 권보(拳譜) 언해
    2. 청룡언월도(靑龍偃月刀)
    1) 청룡언월도제(靑龍偃月刀製): 청룡언월도의 제작
    2) 청룡언월도보(靑龍偃月刀譜): 청룡언월도를 익히는 보(譜)
    3) 청룡언월도(靑龍偃月刀) 언해
    3. 협도곤(夾刀棍)
    1) 협도곤제(夾刀棍製): 협도곤의 제작
    2) 협도곤보(夾刀棍譜): 협도곤을 익히는 보(譜)
    3) 구창도(鉤?圖)
    4) 협도곤(夾刀棍) 언해
    4. 왜검(倭劒)
    1) 왜검보(倭劒譜): 왜검을 익히는 보(譜)
    2) 왜검(倭劒) 언해
    3) 신서왜검도(新書倭劒圖)
    4) 일본국도(日本國圖)
    5. 부(附)
    1) 일본고(日本考)
    2) 왜선(倭船)
    3) 구술(寇術)
    4) 왜도(倭刀)
    5) 절의(切意)
    6) 발문(跋文)
    부록 1. 세(勢)에 대한 그림[圖]의 조사
    부록 2. 각 세(勢)에 해당하는 그림[圖]의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