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 연구총서

한국 근대문학교육사 연구


저자명
우한용
출판사
서울대학교출판부
발행일
2009
연 번

연구총서 27

목차

    머리말 = ⅲ
    Ⅰ. 서론: 한국 근대문학교육의 역사적 전망 = 1
    1. 연구의 목적과 의의 = 1
    2. 연구방법과 서술의 원칙 = 3
    1) 문학교육사 연구방법 = 3
    2) 문학교육사 연구의 서술방법 = 9
    3) 문학교육사 시대구분의 문제 = 10
    3. 연구사 검토 = 16
    1) 문학교육의 내적 연구 = 16
    2) 문학교육과 비평의 연관 = 21
    4. 문학교육사의 해석 차원 = 29
    1) 용어의 규정: 문학/교육/이론 = 29
    2) 문학교육현상의 이론적 얼개 = 31
    3) 문학교육이론 모색의 갈래와 흐름 = 39
    4) 종결 없는 이론의 복선적 진전 = 56
    5. 문학교육사의 근대성 인식 = 60
    1) 문학교육과 근대성 문제 = 61
    2) 문학교육의 근대적 제도 내 수용 = 62
    3) 문학교육과정기의 전개 양상 = 65
    4) 문학교육의 근대성 인식 = 83
    5) 문학교육의 근대성 초극과 전망 = 87
    Ⅱ. 경험주의/가치 중심 문학교육: 제1차 교육과정기 = 93
    1. 경험주의 교육과정의 도입 = 93
    2. 가치 중심 문학제재의 편성 = 95
    1) 자연/국토와 전통 = 95
    2) 소설의 현실 탈피 = 102
    3. 작가의 경험론적 비평과 문학교육 = 106
    Ⅲ. 경험 중심 진보주의/원론적 문학교육: 제2차 교육과정기 = 111
    1. 경험 중심 진보주의 교육과정 = 111
    2. 순수지향 문학제재의 수용 = 115
    3. 문학원론과 창작교육의 도입 = 122
    4. 문학이론으로서 소설의 시점과 해석 = 126
    1) 시각과 사물의 의미 = 127
    2) 이야기하기와 이야기 서술하기 = 130
    3) ‘본다’는 현상이란 무엇인가 = 134
    4) 소설의 서술과 언어의 한계 = 137
    5) 시점과 서술의 해석학 = 147
    Ⅳ. 학문 중심/형식주의 문학교육: 제3차 교육과정기 = 153
    1. 학문 중심 교육과정의 시발 = 153
    2. 순수지향과 시대적 가치의 혼재 = 157
    3. 탈이념의 이념지향적 역설 = 160
    4. 문학의 순수성과 그 교육적 의미 = 167
    1) 인간의 보편성과 문학의 순수성 = 167
    2) 순수의 형상화 방법: 액자소설의 형식성 = 170
    3) 순수 표상으로서의 성스러움 = 173
    5. 형식주의 문학론과 단편소설 = 175
    1) 단편소설 재부상의 맥락 = 176
    2) 단편소설의 장르적 특징 = 177
    3) 단편소설의 교육적 가치 = 178
    4) 단편소설의 교육적 실천 전망 = 180
    6. 신비평과 문학구조론의 문학교육사적 의의 = 182
    1) 신비평과 문학교육의 연계 = 183
    2) 신비평 수용과 논의의 양상 = 184
    3) 문학연구방법론의 패러다임 = 187
    4) 신비평 수용의 맥락 = 190
    5) 신비평의 문학연구사적 의의 = 203
    6) 신비평의 문학교육사적 해석 = 207
    7. 문학구조론의 교육과 비평론의 위상 = 212
    Ⅴ. 기능 중심/문학사 중심 문학교육: 제4차 교육과정기 = 217
    1. 기능론적 국어교육과 문학교육 = 217
    2. 문학언어 이해 방법론 비판 = 223
    1) 문학의 언어와 장르 = 223
    2) 문학언어의 구조성 = 225
    3) 문학언어의 사회성 = 234
    3. 가치편향적 문학교육정전의 형성과 반성 = 241
    4. 문학사와 문학교육의 역학관계 = 256
    5. 시적 전통의 문학교육사적 의미 = 259
    1) 고전 계승과 문학전통 = 259
    2) 고전의 시적 형식 = 261
    3) 전통적 정서의 복합성 = 266
    4) 원형적 심상의 재형상화 = 271
    Ⅵ. 기능 중심/활동 중심 문학교육: 제5ㆍ6차 교육과정기 = 275
    1. 국어교육의 기능주의와 활동 중심 문학교육 = 275
    2. 문학교육과 기호론적 해석의 적용 = 282
    1) 기호론적 체계로서의 소설 = 283
    2) 누구의 이야기인가 = 286
    3) 무엇을 하는 이야기인가 = 289
    4) 어떤 세계의 이야기인가 = 296
    5) 어떤 말로 서술되어 있는가 = 300
    6) 독자는 의미를 어떻게 구성하는가 = 306
    3. 제재의 다양성과 교수 – 학습방법의 구체성 = 308
    4. 소설의 순수성 극복과 장편소설의 교육 = 317
    5. 문학교육에서 소설언어의 분석과 해석 = 330
    1) 소설의 언어와 담론 = 331
    2) 작중인물의 태도와 작가의 개입 = 334
    3) 단일언어의 대화화: 편지양식 = 340
    4) 대화와 서술의 관계 = 343
    5) 인물의 성격과 담론의 상관성 = 347
    6) 사상과 담론의 한계 = 350
    7) 소설의 담론구조와 그 해석 = 354
    6. 활동 중심의 문학교육관 비판 = 356
    Ⅶ. 문화에서 문학의 생산으로: 제7차 교육과정기 = 363
    1. 문학에 대한 문화적 시각 = 363
    2. 문학의 이해와 감상을 넘어서 = 367
    3. 문학의 문학성과 현실성의 조화 = 373
    4. 비평의 다변화와 시각의 개방성 = 382
    Ⅷ. 한국 근대문학교육사의 의미연관 = 387
    1. 문학교육이념의 변천과 지향 = 387
    2. 정전의 형성과 변용의 의미맥락 = 390
    3. 문학과 문학교육의 관점 변화 = 394
    4. 민족주의 문학교육관의 변화와 전망 = 397
    5. 이원적 도식의 형성과 극복: 지식/경험, 논리/정서 = 399
    Ⅸ. 결론: 문학문화의 성취를 위하여 = 403
    1. 교육과정이 표방하는 문학교육의 성격과 목표 = 403
    2. 교육과정기에 체험해야 하는 문학의 범위 = 406
    3. 문학의 교수 – 학습방법과 평가의 방향 = 408
    4. 매체의 발달과 문학교육의 연계성 = 410
    5. 세계 변화에 대응하고 창조하는 문학 = 412
    6. 남북한의 문학교육과 그 역사 = 413
    7. 문학교육사의 전망을 모색하며 = 415
    참고문헌 = 419
    부록
    1. 역대 교육과정 중 문학교육 관련 내용 = 435
    2. 역대 교과서 수록 문학제재 일람 = 469
    3. 제7차 교육과정기 『고등학교 문학』 수록 작품목록 = 495
    Abstract = 515
    찾아보기
    사항 = 523
    작가 = 529
    작품 = 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