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인간행도서

규장각 자료총서

규장각 자료총서는 규장각 원문검색서비스에서
열람할 수 있습니다.

규장각 원문검색 서비스 바로가기
  • 계보편
  • 과학기술편
  • 관서지편
  • 근대편
  • 대외관계편
  • 문학편
  • 법전편
  • 어학편
  • 예술편
  • 유학편
  • 의궤편
  • 지리지편
  • 기타편
서명 편집자 내용 권수 간행연도 내려받기
여산송씨십이세계
(礪山宋氏十二世系)
판윤남공선계
(判尹南公先系)
양문양공외예보
(梁文襄公外裔譜)
모당내외손록
(慕堂內外孫錄)
권기석 해제 · 편집 부계(父系)에 한정하지 않는 다원적인 혈연의식을 담고 있는 가계기록 4종을 모음. 『여산송씨십이세계』는 17세기 초 문신 송희업(宋熙業)이 팔고조도(八高祖圖)를 바탕으로 자신의 내외혈연을 독특한 방식으로 정리한 가계기록. 『판윤남공선계』는 16세기 무관 남치근(南致勤)의 외손 계보를 포함한 전기류 기록. 『양문양공외예보』와 『모당내외손록』은 국왕 정조(正祖)의 명에 따라 정리한 규장각 각신과 혜경궁(惠慶宮) 가문의 계보기록 1 2019
의역주팔세보(醫譯籌八世譜) 권기석 해제 · 편집 조선시대 전문직 중인이 맡았던 세 가지 관직 분야인 의학(醫學), 역학(譯學), 주학(籌學)에 종사한 인물의 가계를 팔세보(八世譜) 형식으로 정리한 계보기록 1 2019
서명 편집자 내용 권수 간행연도 내려받기
보만재총서(保晩齋叢書) 김문식 · 박권수 해제
박권수 편집
영조와 정조에게 학문적 능력과 행정가로서의 자질을 인정받았던 보만재(保晩齋) 서명응(徐命膺, 1716-1787)의 저술을 정리한 문집 10 2006-2009 1
2
3
4
5
6
7
8
9
10
고사신서(攷事新書) 박권수 해제 서명응(徐命膺, 1716-1787)이 어숙권(魚叔權)의 저서 『고사촬요(攷事撮要)』를 전면적으로 개정하여 간행한 책, 중앙과 지방의 관원으로 벼슬살이를 하는 이에게 필요한 일상생활과 경제생활, 사회생활에 필요한 기본적인 지식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내용 7 e-규장각 자료총서
시헌기요(時憲紀要) 전용훈 해제 19세기 조선에서 수학과 천문학 분야에서 가장 조예가 깊다고 평가되는 남병길(南秉吉, 1820-1869)이 저술한 일월오성의 위치를 계산하고 일월식을 예측하는 역산천문학에 관한 책 2 e-규장각 자료총서
의기집설(儀器輯說) 전용훈 해제 19세기 조선에서 수학과 천문학 분야에서 가장 조예가 깊다고 평가되는 남병길(南秉吉, 1820-1869)이 혼천의(渾天儀), 혼개통헌의(渾蓋通憲儀), 간평의(簡平儀), 험시의(驗時儀), 적도고일귀의(赤道高日晷儀), 혼평의(渾平儀), 지구의(地球儀), 구진천추합의(勾陳天樞合儀), 양경규일의(兩景揆日儀), 양도의(量度儀)의 10가지 기구의 유래, 제작법, 안치법, 측정법, 측정치의 수학적 의미를 설명하고 관측지의 다른 값으로 환산하는 계산법 등을 종합적으로 서술한 책 2 e-규장각 자료총서
추보속해(推步續解) 전용훈 해제 19세기 조선에서 수학과 천문학 분야에서 가장 조예가 깊다고 평가되는 남병길(南秉吉, 1820-1869)이 태양과 달의 운동, 일식과 월식을 계산하는 방법을 담고 있는 역산(曆算)에 관한 책 3 e-규장각 자료총서
추보첩례(推步捷例) 전용훈 해제 19세기 조선에서 수학과 천문학 분야에서 가장 조예가 깊다고 평가되는 남병길(南秉吉, 1820-1869)이 태양, 달, 토성, 목성, 화성, 금성, 수성등 5성 행도(行度), 전체의 위치 관계와 일출입 및 합삭의 계산법(七政段目步法), 역주(歷注)의 배열 규칙과 작성법(作曆式), 월식계산법(月食步法), 일식계산법(日食步法) 등에 관하여 정리한 책 2 e-규장각 자료총서
해경세초해(海鏡細艸解) 전용훈 해제 19세기 유학자 남병철(南秉哲, 1817-1863)이 이야(李冶, 1192-1279)의 저술서 『측원해경(測圓海鏡)』 중 '세초(細艸)' 부분에 본인의 해설을 덧붙여 천원술(天元術)로 2차방정식을 푸는 방법을 저술한 책 2 e-규장각 자료총서
서명 편집자 내용 권수 간행연도 내려받기
홍문관지(弘文館志) 우경섭 해제
김윤제 편집
홍문관의 연혁과 편제,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 책 1 2002
규장각지(奎章閣志) 우경섭 해제
김윤제 편집
규장각의 직제와 기능 변화를 정리하고 법제적으로 규정하기 위한 목적에서 편찬된 책 1 2002
시강원지(侍講院志) 우경섭 해제
김윤제 편집
세자시강원의 연혁과 기능을 중심으로 세자 교육과 관련된 역대의 사적을 정리하여 편찬한 책 2 2003
추관지(秋官志) 심재우 해제
김윤제 편집
형조(刑曹)의 각종 사무 규정과 법률, 판례와 사례 등을 일정한 체계로 분류, 체계화하여 편찬한 책 3 2004

탁지지(度支志) 정연식 해제
김윤제 편집
호조(戶曹)의 관제와 직무에 관해 중요한 사항들을 정리하여 편찬한 책 3 2005

통문관지(通文館志) 김윤제 해제 · 편집 숙종 말년 사역원의 역관이었던 김지남(金指南, 1654~?)과 아들 김경문(金慶門)이 중심이 되어 편찬한 사역원(司譯院)의 연혁과 관제, 고사 및 사대교린의 외교 자료를 수록한 책 2 2006
증정교린지(增正交隣志) 김윤제 해제 · 편집 사역원의 관서지인 통문관지의 일부 내용을 보완하기 위하여 1802년 역관 김건서(金健瑞)의 주도로 편찬 간행된 외교에 관한 책 1 2007
춘관지(春官志) 이현진 해제
강문식 편집
예조(禮曹)의 담당 업무의 준거가 되는 법례와 사례 및 업무 전반을 정리한 책 1 2013
기사지(耆社志) 1849년(헌종15) 홍경모(洪敬謨, 1774-1851)가 연로한 신하를 예우하기 위하여 만든 기로소(耆老所)의 연혁, 기로소 관련 명단, 어제, 시문 등을 수록한 책 8 e-규장각 자료총서
기사지초(耆社志抄) 1871년(고종 8)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는 편자 미상의 기로소에 관한 책으로, 표지명은 『기사고실(耆社故實)』 이고,  내제는 '기사지초(耆社志抄)'로 되어 있음, 『기사지』의 주요 부분을 발췌하고 후대의 기록을 추가하였고, 특히  태조와 숙종, 영조 등 기로소에 든 세 왕의 고사, 기신(耆臣)에 직접 관련된 주요 사항만 압축해 놓은 책 1 e-규장각 자료총서
서운관지(書雲觀志) 1818년(순조 18) 관상감 관원 성주덕(成周德, 1759-?)이 관상감의 조직과 인력, 업무와 규정, 역사(故事), 관상감 활동에 필요한 주요 서적 및 천문관측 기구(書器) 등을 정리하여 편찬한 책 2 e-규장각 자료총서
춘관통고(春官通考) 1788년(정조 12) 정조의 명령을 받은 유의양(柳義養, 1718-?)이 편찬한 국가전례서 『국조오례의』, 『국조속오례의』, 『국조상례보편』 등에 수록된 각 예제 및 의절에 필요한 기물의 왕대별 고실(故實)과 도설(圖說), 의주를  길례(吉禮), 가례(嘉禮), 빈례(賓禮), 흉례(凶禮) 등의 항목별로 나누어 집대성해 놓았음 98 e-규장각 자료총서
태학지(太學志) 송웅섭 해제  1785년(정조 9) 정조의 명령을 받은 민종현(閔鍾顯, 1745-1798)이 편찬한 책. 성균관의 설치 연혁, 규모, 중수 사실, 문묘에 모신 인물들의 위차와 종사(從祀) 및 승출(陞黜) 관련 사실, 성균관에서 지내는 각종 제사와 의식, 성균관 관원들의 직임, 근평, 역대 명망있는 교관, 성균관 유생이 지켜야 하는 규칙 등 성균관에 관한 모든 기록을 수록 하였음 7 e-규장각 자료총서
서명 편집자 내용 권수 간행연도 내려받기
조칙·법률(詔勅·法律) 이상찬 해제
※금호자료총서
『조칙』은 고종과 순종의 조서(詔書)와 칙서(勅書)를 모아 놓은 책
『법률』은 1895년부터 1910년까지 공포된 법률을 모아놓은 책
1 1991
의안·칙령(議案·勅令 上)
칙령(勅令 下 ) 
이상찬 해제
※금호자료총서
『의안』은 군국기무처에서 의결한 일련의 개혁안으로, 법률이 칙령 · 법률 · 부령 등으로 세분화되기 전의 관계 법령을 묶은 책
『칙령』은 1894년부터 1910년까지 공포된 일반 행정에 관한 법령을 묶은 책
2 1991
궁내부거래문첩·궁내부래거안(宮內府去來文牒·宮內府來去案)  양상현 해제
※금호자료총서
『궁내부거래문첩』은 1895년부터 1904년까지  탁지부가 궁내부의 조회에 대해 보낸 조복 등의 공문을 탁지부에서 엮은 책
『궁내부래거안』은 1906년 2월-12월 사이 궁내부의 외사국(外事局), 경리원(經理院), 예식원(禮式院)과 의정부 사이에 오고간 문서를 의정부에서 묶은 책
1 1991
궁내부래안·궁내부안(宮內府來案·宮內府案) 이상찬 해제
※금호자료총서
1897년부터 1905년까지 궁내부와 외부 사이에 왕복한 공문을 외부에서 묶은 책 2 1992 1
2
훈령·훈령조회조안(訓令 ·訓令照會存案(1))
훈령조회존안(訓令照會存案(2-8))
양상현 해제
※금호자료총서
『훈령』은 1898년 3월-7월 사이 궁내부대신이 관하 각사와 군수 등에게 보낸 훈령을 궁내부에서 묶은 책
『훈령조회존안』은 내장원에서 각도 관찰사, 각부 부윤, 각군 군수에게 보낸 훈령이나 중앙 각사와 거래된 조회 등의 공문을 내장원에서 묶은 책
8 1992-1993 1
2
3
4
5
6
7
8
주본·의주(奏本· 議奏(1))
의주(議奏(2~5))
양상현 해제
※금호자료총서
『주본』은 1894년-1895년 의정부(내각) 총리대신이 국왕에게 상주하여 재결을 마친 문건을 묶은 책
『의주』는 1895년 3월-1896년 9월까지 정부 각부에서 의정부(내각) 회의에 제출한 청의서, 내각회의결정문, 내각 회의 후 국왕에게 올린 상주문, 재가 후 발표한 공문을 의정부가 묶은 책 
5 1994-1995 1
2
3
4
5
주본(奏本) 양상현 해제
※금호자료총서
1896년 10월부터 1910년 8월까지 정부 각부가 의정부(내각)회의에 제출한 청의서, 의정부회의 결과보고서, 의정부가 국왕에게 올린 주본, 기타 지령안, 법률안, 칙령안을 비롯한 부속문건을 의정부 편록과에서 묶은 책 14 1995-1997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법부기안(法部起案) 도면회 해제
※금호자료총서
법부가 1895년 4월부터 1905년 12월까지 국왕에게 상주안 문안을 비롯하여 중각 각 부서와 지방관, 각급 재판소에 경무청에 보낸 훈령, 지령, 통첩, 조회, 조복 등의 기안문을 묶은 책 15 1998-1999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법부소장(法部訴狀) 도면회 해제
※금호자료총서
1895년4월부터 1906년 12월까지 법부에 접수된 각종 소장 및 청원서를 시기 및 소관 기구별로 분류하여 묶은 책 7 2000-2004 1
2
3
4
5
6
7
외부소장(外部訴狀) ※금호자료총서 1896년 1월부터 1906년 12월까지 외부 및 의정부 외사국(外事局)에 접수된 소장 및 청원서를 연도별로 묶은 책 1 2000
법규유편(法規類編) 정긍식 해제 1908년에 내각 기록과에서 간행한 것으로 1894년의 갑오경장 이후의 제법령을 망라한 법전 6 2021 1
2
3
4
5
6
육군법률형법대전(陸軍法律刑法大全) 정긍식 해제 『육군법률(陸軍法律) 』은 1900년 9월 4일 법률 제5호로서 제정된 육군법률과 그 이후 수차례 걸쳐 제정된 육군법률의 관련제규정을 한 책으로 묶어 간행한 법령집
『형법대전(刑法大全)』은 1905년 4월 29일에 제정되어 5월 29일에 반포·시행된 법률 제2호 형법(刑法)과 제3호 공화흠포인처단례(公貨欠逋人處斷例)가 합편된 책
1 2021
서명 편집자 내용 권수 간행연도 내려받기
동문고략(同文考略) 정동훈 해제
강문식 편집
1636년부터 1881년까지 조선과 청, 조선과 일본 정부가 주고받은 외교문서를 요약한 자료 4 2012 1
2
3
4
동문고략속(同文考略續) 정동훈 해제
강문식 편집
『동문고략』의 내용을 압축하여 정리한 자료  1 2012
통신사등록(通信使謄錄)  정연식 해제
남지대 · 정연식 · 김윤제 편집
※금호자료총서
일본과의 교린을 담당한 예조 전객사에서 통신사행에 관계된 문서를 연월일순으로 모아 필사한 책
6책은 총목차 색인임
6 1991 1
2
3
4
5
색인
왜인구청등록(倭人求請謄錄) 김윤제 해제
김윤제 · 정연식 · 강석화 편집
※금호자료총서
예조 전객사(典客司)에서 왜인의 구청(求請)에 관계되는 기록들을 연월일 순으로 모아 필사한 책 3 1992 1
2
3
전객사별등록(典客司別謄錄) 오수창 해제
오수창 · 강석화 편집
※금호자료총서
전객사의 업무 기록 중 경상도 동래부에서 이루어진 대일본 교섭에 관한 기록을 연월일 순으로 모아 필사한 책 3 1992 1
2
3
표인영래등록(漂人領來謄錄) 오수창 해제
정연식 · 오수창 편집
※금호자료총서
전객사에서 대일본 관계 업무 기록 중 일본에 표류한 조선인을 돌려보내 오는 데 대한 내용을 연월일 순으로 모아 필사한 책
8책은 총목차 색인
8 1993 1
2
3
4
5
6
7
색인
동문휘고(同文彙考) 조선 후기 대정(對淸) 및 대일(對日) 관계의 교섭 문서를 집대성한 책 23 e-규장각 자료총서
서명 편집자 내용 권수 간행연도 내려받기
흠영(欽英)  박희병 해제
김문식 편집
유만주(兪晩柱)가 1775년부터 1787년까지 자신의 주변에서 일어난 일들에 관해 일기 형식으로 기록한 글 6 1997 1
2
3
4
5
6
별본 동문선(別本 東文選) 이종묵 해제
김윤제 편집
1713년 송상기(宋相琦) 등이 왕명에 따라 역대 문인들의 시문(詩文)을 선발하여 편찬한 시문선집(詩文選集) 4 1998 1
2
3
4
청구야담(靑邱野談) 박희병 해제
김윤제 편집
19세기 전반에 편찬된 조선후기 최고의 이야기 모음집 야담집으로 손꼽히는데, 영인본에는 규장각 소장 6종이 집성되어 있음 8 2000 1. 상
1. 중
1. 하
2. 상
2. 중
2. 하
3, 4
5, 6
대동시선(大東詩選) 김남기 해제
김윤제 편집
홍대용(洪大容)의 요청으로 민백순(閔百順)이 우리나라 한시 1,892수를 선발해 편찬한 시선집(詩選集) 2 2001
열성어제(列聖御製) 김남기 해제
김윤제 편집
조선 태조부터 영조까지 역대 국왕이 지은 어제 시문(詩文)을 모아서 편찬한 책 15 2002-2004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문원보불(文苑黼黻) 김남기 해제
김윤제 편집
조선시대 홍문관, 예문관 등에서 문한(文翰)을 담당한 관리들이 왕명을 받아 지은 관각문(館閣文) 중 모범이 될 만한 문장을 선별해 편찬한 문선집(文選集) 6 2005-2006 1
2
3
4
5
6
문원보불속집(文苑黼黻續編) 김남기 해제
김윤제 편집
정조대 『문원보불(文苑黼黻)』의 속편1787년부터 철종대 1852년까지의 관각문(館閣文)을 선별하였음 2 2007 1
2
관암전서(冠巖全書) 장유승 해제
강문식 편집
19세기 전반 소론계 문신 홍경모(洪敬謨, 1774-1851)의 문집 6 2010 1
2
3
4
5
6
관암산방신편운석외사속편(冠巖山房新編耘石外史續編)  장유승 해제
강문식 편집
홍경모(洪敬謨, 1774-1851)의 문집 『관암산방신편운석외사(冠巖山房新編耘石外史)』의 속편(續編) 부분 2 2010 1
2
총사(叢史) 장유승 해제
강문식 편집
19세기 전반 소론계 문신 홍경모(洪敬謨, 1774-1851)의 문집으로 주로 그의 만년 저작을 엮은 것 3 2011 1
2
3
신편근화풍속남북아곡오륜전비기(新編勤化風俗南北雅曲伍倫全備記)  심경호 해제
김수진 편집
명나라 구준(丘濬, 1420-1495)이 지은 교화적 영인본은 조선 판본인 내용의 희곡 교회청(敎誨廳) 구장본을 저본으로 함 1 2011
간천고(乾川藁)  김수진 해제
김수진 편집
조선후기 소론계 문장가인 조귀명(趙龜命 1693-1737)의 필사본 간본 문집인 『 동계집』(東谿集)에 미수록된 글이 망라되어 있음 1 2011
택당유고전집(澤堂遺稿全集)  김대중 해제
김수진 편집
한문사대가 중 한 명인 택당 이식(李植, 1584-1647)의 필사본 문집 간본 제작 이후 유고 전부를 수습하려는 목적에서 만든 것이므로 간본 『택당집』과의 구분을 위해 ‘전집’이라 명명하였음 6 2013 1
2
3
4
5
6
택당유고간여(澤堂遺稿刊餘)  김대중 해제
강문식 편집
한문사대가 중 한 명인 택당 이식(李植, 1584-1647)의 필사본 문집 초간본 『택당집』이 나온 이후 간본에 제외된 글을 모아 만든 것 3 2014 1
2
3
은파산고(恩坡散稿) 김수진 해제 · 편집 영정조대 노론계 정치가이자 문장가인 심낙수(沈樂洙, 1739-1799)의 필사본 문집 3 2016 1
2
3
전구(傳舊) 김대중 해제
김수진 편집
조선후기 소론계 관료학자인 홍희준(洪羲俊, 1761-1841)의 필사본 현재까지 유일본으로 알려져 있는 책 3 2017 1
2
3
옥원뎐해셔   『옥원전해(玉鴛箋解)』는 『옥원재합기연(玉鴛再合奇緣)』과 연작을 이루며 『옥원재합기연』의 후편에 해당하는 소설, 사위인 소세경, 장인인 이원외, 딸 이현영 간의 갈등 및 사위 이현윤, 장인 경태사, 딸 경빙희 간의 갈등에 관한 내용을 통해 이념과 이념의 상충, 이념과 현실의 상충 속에서 등장인물들이 자신의 잘못을 뉘우쳐가며 각성하는 모습을 보임 5 e-규장각 자료총서
증소집(增巢集)   18세기 초중반의 문장가이자 학자인 김신겸(金信兼, 1693-1738)의 문집으로 18세기 안동 김문의 시대관과 문학관, 가학의 변모 양상을 보여주는 동시에 정치적 지향성을 공유한 18세기 노론계 지식인 그룹의 작품 경향을 확인할 수 있는 책 5   e-규장각 자료총서
통원고(通園稿)   유만주(兪晩柱, 1755-1788)의 벗인 임로(任魯, 1755-1828)가 유만주의 시문과 유만주의 아들 유구환(兪久煥, 1773-1787)의 시문을 모아 1791년에 편찬한 책 6   e-규장각 자료총서
포효숙공신단백가공안연의(包孝肅公神斷百家公案演義)   명대에 나온 작자 미상의 장편 공안류(公案類) 소설로 송대 명판관 포증(包拯)이 무고하게 감옥에 갇힌 사람들의 억울함을 풀어주는 이야기들로 엮여 있음
100회 분량의 6권 6책으로 묶은 것인듯하나 현재 남은 판본은 제30회부터 47회까지의 내용을 담은 권3이 빠진 낙질본이며 권 4의 제48회부터 제 50회의 첫머리 부분도 누락되어 있음
6   e-규장각 자료총서
서명 편집자 내용 권수 간행연도 내려받기
경국대전(經國大典) 남지대 해제
김문식 편집
국가 체제 및 통치의 기본이 되는 조선왕조 최고의 법전으로 여러차례 증수를 거쳐 1485년부터 시행되었으며 이후 간행되는 법전의 전범임 1 1997
대전속록ㆍ대전후속록ㆍ경국대전주해(大典續錄ㆍ大典後續錄ㆍ經國大典註解) 남지대 해제
김문식 편집
『대전속록』은 『경국대전』 편찬 이후의 수교 중 영구시행할 내용과 『경국대전』 중 개정할 내용을 가려 정리한 법전
『대전후속록』은 『대전속록』 발간 이후 성종, 중종의 교령 중 영구히 준행할 법을 가려 정리한 법전
『경국대전주해』는 『경국대전』의 조문 가운데 해석하기 어려운 부분을 주해하여 간행한 책
1 1997
각사수교ㆍ수교집록ㆍ신보수교집록(各司受敎ㆍ受敎輯錄ㆍ 新補受敎輯錄) 구덕회 해제
김문식 편집
『각사수교』는 1546년부터 1576년까지 육조, 한성부, 장례원에 내린 전교를 모은 책
『수교집록』은 『대전속록』,『대전후속록』 편찬 이후 각 도 및 관청에 내려진 수교, 조례 등을 모아 편찬한 책
『신보수교집록』은 1739년(영조 15) 『수교집록』 편찬 이후 『속대전』의 편찬 이전의 수교를 모은 책
1 1997
전록통고(典錄通考) 양진석 해제
김문식 편집
1707년(숙종 33)『경국대전』, 『대전속록』, 『대전후속록』, 『수교집록』의 내용을 조목별로 분류하고 통합하여 편찬한 법전 2 1997
속대전(續大典) 홍순민 해제
김윤제 편집
1746년(영조 22) 『경국대전』의 계승을 표방하여 그 체제에 따라 여러 법전과 수교를 모아 편집하여 간행한 법전 1 1998
대전통편(大典通編) 염정섭 해제
김윤제 편집
1785년(정조 9) 『경국대전』과 『속대전』의 계승을 표방하고 그 체제에 따라 여러 법전과 수교를 모아 편집하여 간행한 법전 2 1998
전률통보(典律通補) 심재우 해제
김윤제 편집
1786년(정조 10) 구윤명(具允明)이 조선의 현행 법령과 『대명률』의 주요 율문을 통합하여 편집한 법전 2 1998
대전회통(大典會通) 정긍식 해제
김윤제 편집
1865년(고종 2) 편찬된 조선왕조 최후의 종합 법전 2 1999
육전조례(六典條例) 연갑수 해제
김윤제 편집
1867년(고종 4) 중앙의 각 관청의 행정법규와 사례를 모아 편찬한 법전 2 1999
양전편고ㆍ은대조례(兩銓便攷ㆍ 銀臺條例) 오수창 해제
김윤제 편집
『양전편고』는 조선시대 관리의 인사를 담당한 이조(吏曹)와 병조(兵曹)의 인사관련 법령과 관례를 모은 업무 지침서
『은대조례』는 승정원에서 업무에 참조하기 위하여 승정원 관련 법전 규정, 업무 지침과 절차 등을 모아 정리한 책
1 2000
은대편고(銀臺便攷) 오수창 해제
김윤제 편집
승정원에서 업부에 참조하기 위하여 승정원의 관서, 관인 및 업무와 연관된 법전 규정, 업무 수행의 지침과 절차, 참고 사항 등을 모아 정리한 책 2 2000
대명률직해(大明律直解) 정긍식 · 조지만 해제
김윤제 편집
『대명률』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두로 번안한 책 1 2001
대명률강해(大明律講解) 정긍식 · 조지만 해제
김윤제 편집
『대명률』의 주석서로 율문에 대한 해설을 '강왈(講曰), 율왈(律曰)'의 형태로 하고 있는 책 1 2001
대명률부례(大明律附例) 정긍식 · 조지만 해제
김윤제 편집
『대명률』의 율문과 사례를 결합한 종합 법서 2 2001
서명 편집자 내용 권수 간행연도 내려받기
노걸대·노걸대언해(老乞大老乞大諺解) 송기중 해제
김문식 편집
『노걸대(老乞大)』는 조선시대 가장 널리 알려진 한어(漢語) 회화학습서. 순한자본 『노걸대』 선본 1본과 평안감영판 『노걸대언해』를 저본으로 영인함 1 2003
노걸대신역·중간노걸대·중간노걸대언해(老乞大新譯ㆍ重刊老乞大ㆍ重刊老乞大諺解) 송기중 해제
김문식 편집
기존 『노걸대』의 내용을 일부 수정해 편집한 것. 『노걸대신역』은 1761년에, 『중간노걸대』와 『중간노걸대언해』는 1795년에 간행되었음 1 2003
박통사언해(朴通事諺解)   송기중 해제
김문식 편집
고려 말부터 한어(漢語) 회화 학습서로 사용된 『박통사(朴通事)』를 언해한 것. 17세기 후반 숙종대에 간행되었음 1 2004
박통사신역·박통사신역언해(朴通事新釋ㆍ朴通事新釋諺解) 송기중 해제
김문식 편집
『박통사신석(朴通事新釋)』은 18세기 후반 영조대에 간행한 것으로 『박통사』를 당시 쓰임새에 맞게 수정한 것. 『박통사신석언해(朴通事新釋諺解)』는 『박통사신석』을 언해한 것   1 2004
오륜전비언해(伍倫全備諺解)  송기중 해제
김수진 편집
조선후기 사역원에서 역관(譯官)의 회화 학습용으로 중국의 희곡을 주음(注音)주석(註釋)번역해 간행한 한어 (漢語) 역학서(譯學書) 1 2005
역어유해·역어유해보(譯語類解ㆍ譯語類解補)  송기중 해제
김수진 편집
한어(漢語) 어휘집으로, 중국어 단어들을 주제별로 분류하고 각 단어마다 한글로 우리말 음과 뜻을 기록한 것 1 2005
몽어노걸대(蒙語老乞大) 송기중 해제
강문식 편집
조선 후기 사역원에서 역관(譯官)의 양성 및 과시용(科試用)으로 간행한 몽고어 회화 학습서 몽고 문자로 『노걸대』의 내용을 싣고 우리말로 그 음을 달아 풀이해 놓았음 1 2006
첩해몽어·몽어유해(捷解蒙語ㆍ蒙語類解) 송기중 해제
강문식 편집
『몽어노걸대』, 『첩해몽어』, 『몽어유해』를 몽학삼서(蒙學三書)로 손꼽음. 『첩해몽어』는 몽고어 회화 학습서이고, 『몽어유해』는 중국어-한국어-몽고어 분류 어휘집임 1 2006
첩해신어(捷解新語) 정승혜 해제
김수진 편집
조선 중기 사역원에서 일본어를 학습하기 위해 편찬한 대표적인 왜학서(倭學書) 1 2007
상원제어·화이역어(象院題語ㆍ華夷譯語) 박재연 · 이현희 해제
김수진 편집
『상원제어』는 사역원에서 간행한 한어 학습용 교재로 다양한 백화체를 담고 있어 근대 중국어 어휘를 연구하는 데 긴요한 자료
『화이역어』는 명청시대 중국에서 간행된 외국어 학습용 어휘집으로, 조선을 비롯한 인접국의 언어를 한어로 대역(對譯)한 것임 
1 2010
삼운통고·증보삼운통고(三韻通考ㆍ增補三韻通考) 권인한 해제
김수진 편집
삼운상배식(三韻相配式) 체제로 되어 있는 한국 특유의 운서(韻書)로 조선시대 편찬되어 널리 통용되었으며 후기까지 상당한 권위를 인정받았음  1 2012
경서정음(經書正音) 권인한 해제
김수진 편집
사서삼경(四書三經) 등 8종의 유교경전의 본문 한자 아래 한글로 한음(漢音)을 표기한 역학서(譯學書)의 일종 3 2020

관화지남(官話指南)   조선시대에  중국어 학습을 위하여 만든 교본으로 편자 및 편찬 연대 미상의 책, 「관상토속(官商吐屬)」 , 「사령통화(使令通話)」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장의 내용은 두 사람이 대화하는 형식으로 조선 후기 중국어 회화 교육 내용의 실례를 보여주는 책 1   e-규장각 자료총서
동문유해(同文類解)   우리말과 청대 중국어로 주를 단 일종의 만주어 사전 2   e-규장각 자료총서
삼역총해(三譯總解) 고동호 해제  1770년대 김진하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여 사역원(司譯院)에서 개간(改刊)한 10권 10책의 만주어 독본 학습서로 만주 문자로 표기된 구절과 그 만주 문화의 한글 독음, 한국어 언해가 제시되어 있음 10   e-규장각 자료총서
소아론(小兒論) 고동호 해제  1770년대 김진하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여 사역원(司譯院)에서 개간(改刊)한 1권 1책의 만주어 독본 학습서로 만주 문자로 표기된 구절과 그 만주 문화의 한글 독음, 한국어 언해가 제시되어 있음 1   e-규장각 자료총서
팔세아(八歲兒) 고동호 해제  1770년대 김진하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여 사역원(司譯院)에서 개간(改刊)한 1권 1책의 만주어 독본 학습서로 만주 문자로 표기된 구절과 그 만주 문화의 한글 독음, 한국어 언해가 제시되어 있음 1   e-규장각 자료총서
인어대방(隣語大方) 정승혜 해제  『첩해신어(捷解新語)』, 『왜어유해(倭語類解)』와 함께 사역원(司譯院)에서 일본어를 배우는 학습서로 사용된 왜학서(倭學書)로 『첩해신어』보다 고읍 수준의 일본어 학습서 5   e-규장각 자료총서
첩해신어문석(捷解新語文釋) 정승혜 해제  1796년(정조 20) 정조의 명령으로 역관 김건서(金健瑞, 1743-?)가 편찬한 책, 『첩해신어(捷解新語)』가 조선 중기 일본어 학습을 위하여 편찬되었으나 일본어 해독에 부족한 부분이 있어 김건서가 직접 일본인들에게 물어 내용을 수정, 보충하여 완성한 일본어 학습서
김건서는 『통문관지』를 편찬한 김지남(金指南, 1654~?)의 증손자이며 『증정교린지』의 편찬자
4   e-규장각 자료총서
한어초(漢語抄)   중국어 낱말을 한글 또는 한문으로 주석한 사전의 일종이고, 중간에 「청어초(淸語抄)」가 앞뒤와 연관 없이 첨부되어 있음 3   e-규장각 자료총서
서명 편집자 내용 권수 간행연도 내려받기
완당척독 외(阮堂尺牘 外) 이동국 해제
강문식 편집
조선후기 저명한 서화가이자 금석학자 완당(阮堂) 김정희(金正喜, 1786-1856)의 척독문(尺牘文)을 모은 것 1 2006
소치실기(小痴實紀) 강문식 해제
강문식 편집
19세기 후반 문인화가 허련(許鍊, 1809-1892)이 자신의 생애를 기록한 책  1 2006
악서고존(樂書孤存) 송지원 해제
강문식 편집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이 『여람(呂覽)』 이외 여타 서적에 나오는 음악에 관한 여러 학설을 모아 편집한 책  1 2007
규장각도서장서인보(奎章閣圖書藏書印譜) 김수진 기획‧편집 규장각 소장 도서에 압인된 장서인의 인영(印影)을 모으고 그 인문(印文)을 판독해 만든 인보(印譜) 제1권은 조선왕실의 국왕인(國王印)과 관인(官印), 제2권은 15세기-20세기 문인 300여명의 사인(私印)을 수록하고 있음 2 2019 1
2
단릉산인유집(丹陵山人遺集) 박경남 해제  일찍부터 출사를 거부하고 산수에 은둔하여 시문과 그림으로 자신의 뜻을 펼쳐보이고자 한 이윤영(李胤永, 1714-1759)의 문집, 『단릉유고』에 비해 체제가 정연하지 못하고 작품 수도 현격히 적으며 실린 작품 중에서도 그 내용이 부분적으로 빠진 것이 있음 1   e-규장각 자료총서
단릉유고(丹陵遺稿) 박경남 해제  일찍부터 출사를 거부하고 산수에 은둔하여 시문과 그림으로 자신의 뜻을 펼쳐보이고자 한 이윤영(李胤永, 1714-1759)의 문집이고, 『단릉산인유집』 발간 후에 필사된 것으로 추정되는 책으로 18세기 문인의 일상과 예술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음 4   e-규장각 자료총서
현금동문유기(玄琴東文類記) 송지원 해제  조선 중기 서계(西溪) 이득윤(李得胤, 1553-1630)이 필사본으로 남긴 악서(樂書), 거문고와 관련된 각종 명(銘), 부(賦), 기(記), 서(書), 시(詩) 및 악보가 수록, 음악 자체는 물론 거문고를 둘러싼 음악 문화 및 음악과 관련된 화두, 음악 담론 등을 포함하고 있어 16-17세기 전반 사람들의 음악과 음악 인식을 파악할 수 있는 책 1   e-규장각 자료총서
서명 편집자 내용 권수 간행연도 내려받기
오경백선(五經百選) 김문식 해제 ·  편집 1798년(정조 22) 정조가 오경(五經) 중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글 100편을 선발하여 간행한 책 1 2000
주서백선ㆍ아송(朱書百選ㆍ 雅誦) 김남기 해제
김문식 해제
주서백선 : 정조가 주희(朱熹)의 편지 중 100편을 선발하여 1794년(정조 18)에 간행한 책
아송 : 정조가 주희(朱熹)의 시(詩) 중에서 모범이 될만한 것을 선발하여 간행한 책
1 2000
어정대학류의(御定大學類義) 김문식 해제, 편집 정조가 『대학(大學)』의 원문을 바탕으로 하면서 『대학연의(大學衍義)』와 『대학연의보(大學衍義補)』에서 핵심적인 구절을 선별하여 만든 제왕학(帝王學) 교과서 3 2001

사부수권(四部手圈) 정재훈 해제
김문식 편집
정조가 경(經)ㆍ사(史)ㆍ자(子)ㆍ집(集) 등 사부(四部)의 여러 서적 중에서 중요한 내용들을 직접 뽑아서 편집한 책 3 2002

영조어제훈서(英祖御製訓書) 김문식 해제 ·  편집 영조의 어제서(御製書) 가운데 훈계(訓戒)의 뜻이 담겨 있는 자료 51종 52책을 모아서 편집한 책 4 2003 1
2
3
4
주자서절요(朱子書節要) 이상하 해제
김문식 편집
조선 중기의 학자 이황(李滉)이 『주자대전(朱子大全)』에 수록된 주희(朱熹)의 편지글 중에서 중요한 내용들을 선별하여 편찬한 책 3 2004 1
2
3
주자서절요기의ㆍ주자서절요강록(朱子書節要記疑ㆍ朱子書節要講錄) 이상하 해제
김문식 편집
『주자서절요(朱子書節要)』에 대한 주석서 1 2004
주문작해(朱文酌海) 이봉규 해제
강문식 편집
조선 중기의 학자 정경세(鄭經世, 1563~1633)가 『주자대전』에 실린 서간문 이외의 산문 중에서 긴요한 글들을 선별하여 편찬한 책 3 2005

주서요류(朱書要類) 강문식 해제 · 편집 조익(趙翼, 1579-1655)이 『주자서절요(朱子書節要)』에 실린 주희(朱熹)의 편지글 중 특히 중요한 것을 선별하여 주제별로 분류, 정리한 책 2 2006
주자대전습유(朱子大全拾遺) 우경섭 해제
강문식 편집
1672년(현종 13)에 박세채(朴世采, 1631-1695)가 『주자대전(朱子大全)』및 『주자속대전(朱子續大全)』 등에서 누락된 주희(朱熹)의 저술들을 수집하여 편찬한 책 1 2006
절작통편(節酌通編) 강문식 해제 · 편집 송시열(宋時烈, 1607-1689)이 이황(李滉)의 『주자서절요(朱子書節要)』와 정경세(鄭經世)의 『주문작해(朱文酌海)』를 통합하여 편집한 책 6 2008 1
2
3
4
5
6
주자대전차의문목(朱子大全箚疑問目) 강문식 해제 · 편집 김창협(金昌協, 1651-1708)이 송시열(宋時烈)의 『주자대전차의(朱子大全箚疑)』 편찬에 참여하여 자신의 견해를 피력했던 내용들을 김창협의 문인 어유봉(魚有鳳)이 정리하여 편집한 책 3 2014 1
2
3
주문초선(朱文抄選) 강문식 해제 · 편집 송시열(宋時烈, 1606~1689)이 1683년(숙종 9)에 이황(李滉)의 『주자서절요(朱子書節要)』와 정경세(鄭經世)의 『주문작해(朱文酌海)』에 수록된 주희(朱熹)의 저술 중에서 긴요하다고 판단한 것들을 선별·정리하고, 그에 대한 자신의 논평을 첨부하여 편집한 책 1 2015
주자언론동이고(朱子言論同異攷) 강문식 해제 · 편집 한원진(韓元震, 1682~1751)이 주희(朱熹, 1130~1200)가 지은 여러 저술들을 종합적으로 비교·검토하여 주희의 성리학 이론 중 초년설(初年說)과 만년설(晩年說)을 구분해서 그 차이를 정리하고 주희의 최종 정론(定論)을 확인한 주자학 연구서 1 2015
주자대전자의문목표보(朱子大全箚疑問目標補) 강문식 해제 · 편집 조선후기의 학자이자 문장가인 김매순(金邁淳, 1776~1840)이 송시열(宋時烈)의 『주자대전차의(朱子大全箚疑)』와 김창협(金昌協)의 『주자대전차의문목(朱子大全箚疑問目)』을 비교·검토해서 미비하거나 누락된 내용들을 보완·정리하여 1812년(순조 12)에 편찬한 책 3 2017

주자어류고문해의(朱子語類考文解義) 박정철 해제
강문식 편집
18세기의 학자 이의철(李宜哲, 1703∼1778)이 1771년(영조 47) 영남감영에서 판각·간행된 『주자어류대전(朱子語類大全)』을 저본으로 저술한, 『주자어류(朱子語類)』 140책 전체에 대한 주석서 3 2020

절작통편보유(節酌通編補遺) 강문식 해제 송시열(宋時烈, 1606-1689)이 이황(李滉)의 『주자서절요(朱子書節要)』(1558)와 정경세(鄭經世)의 『주문작해(朱文酌海)』(1622)를 하나로 합하여 『절작통편(節酌通編)』을 편찬 한 다음, 여기에 수록되지 않은  『주자대전』의 산문 중에서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것을 다시 선별하여 『절작통편보유』로 편찬 5   e-규장각 자료총서
주자대전차의(朱子大全箚疑) 강문식 해제 송시열(宋時烈, 1606-1689)이 지은 『주자대전(朱子大全)』의 주석서 4   e-규장각 자료총서
주자대전차의보(朱子大全箚疑補) 강문식 해제 18세기 영정조대 활동한 학자 김민재(金敏材, 1699-?)와 그의 아들 김윤추(金允秋) 등이 정조의 명령에 따라 송시열의 『주자대전차의(朱子大全箚疑)』에서 누락된 내용들을 보완, 정리하여 편찬한 책 6   e-규장각 자료총서
주자대전차의후어(朱子大全箚疑後語) 강문식 해제 18세기에 활동한 학자 이의철(李宜哲, 1703-1778)이 송시열의 『주자대전차의(朱子大全箚疑)』에서 누락되거나 소략한 내용들을 보완, 정리하여 편찬한 책 9   e-규장각 자료총서
서명 편집자 내용 권수 간행연도 내려받기
화성성역의궤(華城城役儀軌) 한영우 해제 1794년(정조 18) 1월부터 1796년 8월까지 수원(화성)의 성곽을 축조한 뒤에 공사에 관한 일체의 내용을 정리한 의궤 2 1994
국조보감감인청의궤(國朝寶鑑監印廳儀軌) 지두환 해제
김문식 편집
1782년(정조 6)에 『국조보감(國朝寶鑑)』을 간행할 때의 찬집 및 간행과정, 인원 및 비용 등을 기록한 의궤 1 1997
종묘의궤(宗廟儀軌) 고영진 해제
김문식 편집
1706년(숙종 32)에 종묘의 제도와 의식 절차, 관련 행사 등을 그림과 함께 기록한 의궤 2 1997
사직서의궤(社稷署儀軌) 고영진 해제
김문식 편집
1783년(정조 7)에 사직서의 시설, 인원, 제사 종류 및 절차에 대하여 기록한 의궤 1 1997
영접도감도청의궤(迎接都監都廳儀軌)ㆍ영접도감미면색의궤(迎接都監米麵色儀軌) 한명기 해제, 편집 『영접도감도청의궤』 : 1609년(광해군 1)에 명나라 사신을 접대하기 위하여 설치한 영접도감 도청의 제반 업무 및 감결(甘結)ㆍ장계(狀啓)ㆍ전교(傳敎) 등을 수록한 의궤
『영접도감미면색의궤』 : 1609년(광해군 1)에 명나라 사신을 접대하기 위하여 설치한 영접도감 미면색의 관원ㆍ각종 음식과 물자 등을 기록한 의궤
1 1998
영접도감사제청의궤(迎接都監賜祭廳儀軌) 한명기 해제, 편집 1609년(광해군1)에 선조(宣祖)의 국상에 조문하기 위해 파견된 명나라 사신의 접대를 위해 설치된 영접도감의 사제청에서 수행한 제반 업무 내용을 기록한 의궤. 1 1998
호성선무청난공신도감의궤(扈聖宣武淸難功臣都監儀軌)ㆍ호성선무원종공신의궤(扈聖宣武原從功臣都監儀軌) 한명기 해제, 편집 『호성선무청난공신도감의궤』: 임진왜란 때 선조를 의주까지 호종한 호성공신(扈聖功臣)과 전투에 참여하여 전공을 세운 선무공신(宣武功臣), 전란 중에 발생한 이몽학(李夢鶴)의 난(亂)을 진압하는데 공을 세운 청난공신(淸難功臣)을 책봉한 과정을 기록한 의궤
『호성선무원종공신의궤』: 임진왜란 과정에서 호성∙선무공신에 미치지는 못하지만, 전란 극복에 공헌한 이들을 원종공신(原從功臣)으로 녹훈한 과정을 기록한 의궤 
1 1999
소무영사녹훈도감의궤(昭武寧社綠勳都監儀軌)ㆍ녹훈도감의궤(錄勳都監儀軌) 한명기 해제, 편집 『소무영사녹훈도감의궤』: 1627~1628년에 일어난 이이거(李仁居)의 난과 유효립(柳孝立) 역모사건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운 이들의 공신 책봉 과정을 기록한 의궤
『녹훈도감의궤』: 1644년에 일어난 심기원(沈器遠)의 역모사건과 1646년에 발생한 유탁(柳濯)∙권대용(權大用) 모반사건을 진압하는 데 공훈을 세운 이들의 공신 책봉 사실을 기록한 의궤
1 1999
명성황후국장도감의궤(明成皇后國葬都監儀軌) 한영우 해제
한명기 편집
1895년(고종 32) 일본인들에게 시해당한 명성황후(明成皇后)의 국장(國葬)의 진행 과정 및 제반 의식 등을 기록한 의궤 3 2000 1
2
3
홍릉산릉도감의궤(洪陵山陵都監儀軌)ㆍ홍릉석의중수도감의궤(洪陵石儀重修都監儀軌) 한영우 해제
한명기 편집
『홍릉산릉도감의궤』: 명성황후(明成皇后)의 능 홍릉(洪陵)을 조성한 과정을 기록한 의궤
『홍릉석의중수도감의궤』: 홍릉의 석물(石物)에 하자가 발생하여 이를 중수(重修)한 과정을 기록한 의궤
2 2000 1
2
선조실록수정청의궤(宣祖實錄修正廳儀軌)ㆍ인조실록찬수청의궤(仁祖實錄纂修廳儀軌)ㆍ효종실록찬수청의궤(孝宗實錄纂修廳儀軌) 한명기 해제, 편집 『선조수정실록』ㆍ『인조실록』ㆍ『효종실록』의 편찬 과정을 기록한 의궤 1 2000
고종대례의궤(高宗大禮儀軌) 한영우 해제
신병주 편집
1897년(광무 1) 고종이 황제에 즉위하고 대한제국 수립을 선포한 과정을 기록한 책. 1 2001
명성황후빈전혼전도감의궤(明成皇后殯殿魂殿都監儀軌) 한영우 해제
신병주 편집
명성황후의 국장에서 발인 전에 시신을 모시고 예를 행하는 빈전(殯殿)과 3년상 기간 동안 신주를 모시는 혼전(魂殿)의 준비 및 운영을 담당한 빈전혼전도감(殯殿魂殿都監)의 제반 업무 내용을 기록한 의궤 3 2001 1
2
3
대사례의궤(大射禮儀軌) 신병주 해제, 편집 1743년(영조 19)에 영조가 성균관에 나가 신하들과 함께 활을 쏘는 대사례(大射禮)를 시행한 과정을 기록한 의궤 1 2001
친경의궤(親耕儀軌) 김지영 해제
신병주 편집
1739년(영조 15)과 1767년(영조 43)에 영조가 적전(籍田)에 행차하여 농사의 시범을 보인 친경(親耕) 의식의 전과정을 정리한 의궤 1 2001
서궐영건도감의궤(西闕營建都監儀軌) 장지연 해제
신병주 편집
1829년(순조 29)에 서궐(西闕)인 경희궁(慶熙宮)의 화재로 소실된 전각들을 1830년부터 2년에 걸쳐 다시 조성한 과정을 기록한 의궤 1 2001
경운궁중건도감의궤(慶運宮重建都監儀軌) 한영우 해제
신병주 편집
화재로 불탄 경운궁(慶運宮)을 1904~1906년에 다시 건설한 과정을 기록한 의궤로, 1907년(융희 1)에 편찬됨 1 2002
중화전영건도감의궤(中和殿營建都監儀軌) 한영우 해제
신병주 편집
1901~1902년에 경운궁(慶運宮)의 법전(法殿)인 중화전(中和殿)을 다시 건축한 과정을 기록한 의궤로, 1907년(융희 1)에 편찬됨 1 2002
동국신속삼강행실도찬집청의궤(東國新續三綱行實撰集廳儀軌) 이광렬 해제
신병주 편집
1616년(광해군 8)에 임진왜란 이후의 충신ㆍ효자ㆍ열녀 등을 행적을 널리 알리기 위해 만든 『동국신속삼강행실도(東國新續三綱行實圖)』의 편찬 과정을 기록한 의궤 1 2002
제기악기도감의궤(祭器樂器都監儀軌) 1624년(인조 2)에 제기악기도감(祭器樂器都監)에서 각종 제기(祭器)ㆍ악기(樂器)ㆍ제복(祭服)ㆍ의장(儀仗) 등을 제작한 과정을 기록한 의궤 1 2002
[영조사존호]상호도감의궤([英祖四尊號]上號都監儀軌) 김지영 해제
신병주 편집
1772년(영조 48)에 현종(顯宗)과 현종의 비(妃) 명성왕후(明聖王后), 영조(英祖), 영조의 비 정성왕후(貞聖王后)와 정순왕후(貞純王后)에게 존호(尊號)를 올린 과정을 기록한 의궤 1 2002
화기도감의궤(火器都監儀軌) 김호 해제
신병주 편집
광해군대에 불량기(佛狼機)ㆍ삼안총(三眼銃) 등 각종 화약 무기의 제작 과정을 기록한 의궤로, 1615년(광해군 7)에 편찬됨 1 2003
현종실록찬집청의궤(顯宗實錄纂修廳儀軌) 최연식 해제
신병주 편집
1675년(숙종 1) 5월에 시작되어 1677년 9월에 완료된 『현종실록』의 편찬 과정을 기록한 의궤 1 2003
숙종기해진연의궤(肅宗己亥進宴儀軌) 김종수 해제
신병주 편집
1719년(숙종 45) 9월에 숙종이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가게 된 것을 경축하는 진연(進宴) 의식의 준비와 시행 과정을 기록한 의궤 1 2003
현륭원원소도감의궤(顯隆園園所都監儀軌) 정경희 해제
신병주 편집
1789년(정조 13)에 정조가 양주 배봉산(拜峰山)에 있던 부친 사도세자(思悼世子)의 묘를 수원으로 옮겨 현륭원(顯隆園)을 조성한 과정을 기록한 의궤 2 2003
영종대왕실록청의궤(英宗大王實錄廳儀軌) 최연식 해제
신병주 편집
1777년(정조 1)부터 1781년까지 『영조실록』을 편찬한 과정과 참여 인원, 소요 물자 등을 상세히 기록해 놓은 의궤 1 2004
친잠의궤(親蠶儀軌) 김지영 해제
신병주 편집
1767년(영조 43)에 영조의 비 정순왕후(貞純王后) 김씨(金氏)가 주관한 친잠(親蠶) 의식 과정을 기록한 의궤 1 2004
경모궁악기조성청의궤(景慕宮樂器造成廳儀軌) 송지원 해제
신병주 편집
1776년(정조 1)에 사도세자의 사당인 경모궁(景慕宮)을 건립한 후 경모궁의 제례악(祭禮樂)에 사용될 악기와 의물(儀物)을 조성한 경위를 기록한 의궤 1 2004
정종대왕실록청의궤(正宗大王實錄廳儀軌) 최연식 해제
신병주 편집
1801년 7월에 시작되어 1805년 7월에 완성된 『정조실록』의 편찬 과정을 정리해 놓은 의궤 1 2005
현종부묘도감의궤(顯宗祔廟都監儀軌) 김상태 해제
신병주 편집
1676년(숙종 2) 10월에 현종의 신주(神主)를 종묘에 부묘한 과정을 기록한 의궤 1 2005
의왕영왕책봉의궤(義王英王冊封儀軌) 이정희 해제
신병주 편집
1900년 8월 17일에 고종의 둘째 황자(皇子) 의화군(義和君) 이강(李堈)을 의왕(義王)으로, 셋째 황자 이은(李垠)을 영왕(英王)으로 책봉한 과정을 기록해 놓은 의궤 1 2005
소현세자가례도감의궤(昭顯世子嘉禮都監儀軌) 김세은 해제
신병주 편집
1627년(인조 5)에 행해진 소현세자(昭顯世子)와 세자빈 강씨[강석기(姜碩期)의 딸] 혼례 과정을 기록한 의궤 1 2006
정조효의왕후가례도감의궤(正祖孝懿后嘉禮都監儀軌) 신병주 해제 · 편집 1762년 2월에 거행된 세손(世孫, 후의 정조)과 세손빈(世孫嬪) 김씨[김시묵(金時黙)의 딸, 후의 효의왕후]의 혼례 과정으로 기록한 의궤 2 2006
영종대왕산릉도감의궤(英宗大王山陵都監儀軌) 신병주 해제 · 편집 1776년(정조 즉위)에 지금의 동구릉(東九陵) 경내의 옛 영릉(寧陵: 효종의 릉) 자리에 영조의 원릉(元陵)을 조성한 과정을 기록한 의궤 2 2007
황단종향의궤(皇壇從享儀軌)ㆍ대보단증수소의궤(大報壇增修所儀軌) 강문식 해제 · 편집 『황단종향의궤』: 1762년(영조 38)에 황단[皇壇, 대보단(大報壇)]에 서달(徐達), 이여송(李如松), 원경문(苑景文) 등 3인을 종향(從享)한 과정을 기록한 의궤
『대보단증수소의궤』: 1704년(숙종 30)에 건립된 대보단(大報壇)을 1749년(영조 25)에 증수(增修)한 후에 그 경위를 기록한 의궤
2 2008 1
2
영접도감도청의궤(迎接都監都廳儀軌)ㆍ영접도감연향색의궤(迎接都監宴享色儀軌) 이재경 해제
강문식 편집
1634년(인조 12) 6월에 소현세자(昭顯世子)의 세자 책봉을 위해 조선에 온 명나라 사신단을 영접하기 위해 설치된 영접도감(迎接都監)의 도청(都廳)과 연향색(宴享色)에서 수행한 업무 내역을 기록한 의궤  1 2015
영접도감응판색의궤(迎接都監應辦色儀軌) 이재경 해제
강문식 편집
1634년(인조 12) 6월 소현세자(昭顯世子)의 세자 책봉을 위해 조선에 온 명나라 사신단을 영접하기 위해 설치된 영접도감(迎接都監)의 응판색(應辦色)에서 수행한 업무 내역을 기록한 의궤  1 2015
영접도감군색의궤(迎接都監軍色儀軌) 이재경 해제
강문식 편집
1634년(인조 12) 6월 소현세자(昭顯世子)의 세자 책봉을 위해 조선에 온 명나라 사신단을 영접하기 위해 설치된 영접도감(迎接都監)의 군색(軍色)에서 수행한 업무 내역을 기록한 의궤  1 2015
영접도감반선색(迎接都監盤膳色儀軌)ㆍ영접도감미면색의궤(迎接都監米麵色儀軌)ㆍ영접도감잡물색의궤(迎接都監雜物色儀軌) 이재경 해제
강문식 편집
1634년(인조 12) 6월 소현세자(昭顯世子)의 세자 책봉을 위해 조선에 온 명나라 사신단을 영접하기 위해 설치된 영접도감의 반선색(盤膳色), 미면색(米麵色), 잡물색(雜物色)에서 수행한 업무 내역을 기록한 의궤  1 2015
정조빈전혼전도감의궤(正祖殯殿魂殿都監儀軌) 이현진 해제
강문식 편집
1800년(순조 즉위) 6월부터 11월까지 진행된 정조(正祖)의 국장(國葬)에서 빈전(殯殿)과 혼전(魂殿)의 조성 및 운영에 관한 제반 사항을 기록한 의궤 3 2016

정조부묘도감의궤(正祖祔廟都監儀軌) 이현진 해제
강문식 편집
1802년(순조 2) 6월부터 8월까지 정조(正祖)의 신주(神主)를 혼전(魂殿)인 효원전(孝元殿)에서 종묘로 옮겨 봉안하는 부묘(祔廟) 과정을 기록한 의궤 1 2016
원행을묘정리의궤(園辛乙卯整理儀軌) 오수창 해제 · 편집 1795년(정조 19) 정조가 水原에서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을 개최한 사실을 정리한 의궤(索引 103면 포함) 3 1994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英祖貞純后嘉禮都監儀軌) 신병주 해제
오수창 ·김문식 · 신병주 편집
1759년(영조 35) 영조와 정순왕후의 결혼식 기록을 정리한 의궤(색인 37면 포함) 2 1994
순조순원후계례도감의궤(純祖純元后嘉禮都監儀軌) 신병주 해제
오수창 · 김문식 · 신병주 편집
1802년(순조 2) 순조가 김조순의 딸을 왕비로 정하여 결혼식을 올린 사실을 정리한 의궤(색인 46면 포함) 2 1994
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 오수창 해제 · 편집 1800년(정조 24) 정조의 國葬 절차에 관한 일체의 내용을 정리한 의궤 4 1995 1
2
3
4
정조건릉산릉도감의궤(正祖健陵山陵都監儀軌) 오수창 해제 · 편집 1800년(정조 24) 水原의 顯隆園 옆에 정조의 健陵을 조성한 내용을 정리한 의궤  2 1995
순조기축진찬의궤(純祖己丑進饌儀軌)  1828년(순조 28) 순조의 나이 40세와 등극한지 30주년을 기념하는 잔치의 절차를 정리한 의궤 2 1996
고종임인진연의궤(高宗壬寅進宴儀軌) 오수창 해제 · 편집 1902년 고종이 51세의 나이로 耆老所에 들어간 것을 기념하는 잔치의 절차를 정리한 의궤 2 1996
경모궁의궤(景慕宮儀軌) 오수창 해제 · 편집 1784년(정조 18) 사도세자의 사당인 景慕宮의 건립과 제사 의식을 정리한 의궤 1 1996
자경전진작정례의궤(慈慶殿進爵整禮儀軌) 오수창 해제 · 편집 1827년(순조 27) 세자 익종이 순조와 그의 비 순원왕후에게 존호를 올리는 의식과 절차를 정리한 의궤 1 1996
고종어진도사도감의궤(高宗御眞圖寫都監儀軌) 오수창 해제 · 편집 1901~1902년 고종과 황태자의 초상화를 제작한 과정을 정리한 의궤 1 1996
서명 편집자 내용 권수 간행연도 내려받기
강원도읍지(江原道邑誌)  배우성 해제 오상학 편집
규장각 소장 강원도 지역 군현 읍지 모음
1권: 관동(關東)
2권: 간성(杆城), 강릉(江陵), 고성(高城), 금성(金城)
3권: 김화(金化), 낭천(狼川), 화천(華川), 삼척(三陟), 척주(陟州), 안협(安峽), 양구(楊口), 양양(襄陽), 현산(峴山)
4권: 영월(寧越), 울진(蔚珍), 원주(原州)
5권: 이천(伊川), 청이(淸伊), 인제(麟蹄), 정선(旌善), 철원(鐵原), 춘천(春川), 통천(通川), 평강(平康)
6권: 평창(平昌), 평해(平海), 홍천(洪川), 회양(淮陽), 횡성(橫城), 흡곡(歙谷)
6 1997 1
2
3
4
5
6
경기도읍지(京畿道邑誌) 배우성 해제(1-6, 8-9권) 오상학 편집(전권)
규장각 소장 경기도 지역 군현 읍지 모음
1권: 광주(廣州), 수원(水原)
2권: 가평(加平), 고양(高陽), 과천(果川), 교동(喬桐), 교하(橋下), 김포(金浦), 남양(南陽), 마전(麻田), 부평(富平), 삭녕(朔寧), 시흥(始興), 안산(安山), 안성(安城), 양근(陽根), 양성(陽城), 양주(楊州), 양지(陽智), 양천(陽川)
3권: 여주(驪州), 연천(漣川), 영평(永平), 용인(龍仁), 음죽(陰竹), 이천(利川), 인천(仁川), 장단(長湍), 적성(積城), 죽산(竹山), 지평(砥平), 진위(振威), 통진(通津), 파주(坡州), 포천(抱川), 풍덕(豊德)
4권: 서울, 경기(京畿)
5권: 기전(畿甸), 강도(江都), 광영(廣營), 화영(華營), 기영(畿營), 양근(楊根), 대부도(大阜島) 읍사례(邑事例)
6권: 강화(江華)
7-9권: 경기지역 읍지-개성(開城)
9 1998-2000 1
2
3
4
5
6
7
8
9
충정도읍지(忠淸道邑誌) 배우성 해제 오상학 편집
규장각 소장 충청도 지역 군현 읍지 모음
1권: 결성(結城), 공주(公州), 괴산(槐山)
2권: 단양(丹陽), 대흥(大興), 목천(木川), 문의(文義), 보은(報恩)
3권: 부여(夫餘), 석성(石城), 아산(牙山)
4권: 신창(新昌), 연기(燕岐), 연풍(延豐), 영동(永同), 영성(寧城), 영춘(永春), 예산(禮山), 옥천(沃川)
5권: 온양(溫陽), 음성(陰城), 정산(定山), 제천(堤川), 진천(鎭川), 청산(靑山), 청안(淸安)
6권: 청양(淸陽), 청주(淸州), 청풍(淸風), 충주(忠州), 해미(海美), 홍산(鴻山), 홍주(洪州), 황간(黃澗), 회덕(懷德), 회인(懷仁)
6 2001 1
2
3
4
5
6
전라도읍지(全羅道邑誌) 이기봉 해제(1-15권, 20-22권) 이기봉 편집(1-19권)
강문식 편집(20-22권)
규장각 소장 전라도 지역 군현 읍지 모음
1권: 강진(康津), 고부(古阜)
2권: 고산(高山), 고창(高敞), 곡성(谷城), 광양(光陽)
3권: 광주(光州)
4권: 구례(求禮), 금구(金溝), 금산(錦山)
5권: 김제(金堤), 나주(羅州)
6권: 낙안(樂安), 남원(南原)
7권: 남평(南平), 능주(綾州)
8권: 담양(潭陽), 돌산(突山), 동복(同福)
9권: 만경(萬頃), 무안(務安), 무장(茂長)
10권: 무주(茂朱), 보성(寶城), 부안(扶安)
11권: 순창(淳昌), 순천(順天)
12권: 여산(礪山), 여수(麗水), 영광(靈光)
13권: 영암(靈巖), 옥과(玉果), 완도(莞島)
14권: 용담(龍潭), 용안(龍安), 운봉(雲峯), 익산(益山)
15권: 임실(任實), 임피(臨陂), 장성(長城)
16권: 장성(長城)
17권: 전주(全州)
18권: 장수(長水), 장흥(長興), 정읍(井邑), 지도(智島), 진도(珍島), 진산(珍山), 진안(鎭安), 창평(昌平)
19권: 태인(泰仁), 함열(咸悅), 함평(咸平), 해남(海南)
20권: 화순(和順), 흥덕(興德), 흥양(興陽)
21권: 대정(大靜), 정의(㫌義), 제주(濟州)
22권: 호좌수영(湖左水營), 호우수영(湖右水營), 호남영(湖南營), 호남진(湖南鎭), 호남역(湖南驛)
22 2003-2009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서명 책수 간행연도 내려받기
제주하원리호적중초(濟州河源里戶籍中草) 3 1992-1996 1
2
3
보인부신총수(寶印符信總數) 1 1994
호구총수(戶口總數) 1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