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 모노그래프

심과 성: 다산의 『맹자』 해석


저자명
금장태
출판사
서울대학교출판부
발행일
2005
연 번

모노그래프 29

목차

    Ⅰ. 茶山의 『孟子』 해석과 心개념의 인식
    1. 인간이해와 심성론의 과제
    2. 心의 명칭과 성격
    1) 心의 명칭: 神·心과 大體
    2) 心의 기본성격: 主宰과 靈明
    3. 心의 양상
    1) 心의 발동으로서 情과 志
    2) 人心과 道心
    4. 欲의 양상과 통제
    1) 氣質과 人欲의 현상
    2) 人欲의 통제와 실현
    5. 心개념의 특성과 의미
    Ⅱ. 茶山의 『孟子』 해석과 性개념 인식
    1. 『맹자』의 性개념 문제
    2. 性개념의 인식
    1) 性嗜好說의 논증
    2) 性과 命·德의 관계
    3. 성리학적 性개념에 대한 비판
    1) 心性天一理說·性卽理說에 대한 비판
    2) 本然之性·氣質之性에 대한 비판
    4. 人性과 物性의 차이
    1) 人性의 차별성 인식
    2) 人物性同論에 대한 비판
    5. 다산의 性개념 인식과 의미
    Ⅲ. 茶山의 『孟子』 해석과 性善惡論의 쟁점
    1. 性의 善惡문제
    2. 性嗜好說에 근거한 性善의 해석체계
    1) 性嗜好說과 性善
    2) 성리학의 性善惡論에 대한 비판
    3. 性의 善惡논변에 관한 포괄적 해석
    1) 性善惡論의 다양성에 대한 평가
    2) 自主之權의 의미와 韓愈의 性三品說 비판
    4. 孟子와 告子·荀子의 性善惡論과 쟁점
    1) 孟子와 告子의 性善惡논변에 대한 해석
    2) 孟子 性善說과 荀子 性惡說의 쟁점
    5. 性의 善惡논변이 갖는 의미
    Ⅳ. 茶山의 『孟子』 해석과 修養의 방법-퇴계의 수양론과 비교이해
    1. 수양론에서 다산과 퇴계
    2. 『陶山私淑錄』과 다산의 퇴계이해
    1) 人品과 出處에 대한 이해
    2) 수양과 학문방법에 대한 이해
    3. 存心의 해석과 실천
    1) 存心의 의미
    2) 存心의 실천과제
    4. 不動心과 養性의 실현
    1) 不動心의 실현: 養氣와 知言
    2) 養性의 실현과 修身의 治道
    5. 다산과 퇴계의 수양론적 특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