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 공동연구총서

한국 근대사회와 문화 1 :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를 중심으로


저자명
권태억 외
출판사
서울대학교출판부
발행일
2003
연 번

공동연구총서 03

목차

    제1부 개화기의 언어와 문학
    서양인 편찬의 개화기 韓國語 對譯辭典과 근대화 / 이병근
    1. 머리말 = 5
    2. 『한불자뎐(1880)』의 경우 = 9
    3. 『한영자뎐(1891)』의 경우 = 19
    4. 『한영자뎐(1897)』의 경우 = 24
    5. 맺음말 = 34
    개화기에 이루어진 서양인의 한국어 연구 / 송기중
    1. 서론 = 41
    2. 개화기에 이루어진 서양인의 국어 연구 = 51
    1) 서설 = 51
    2) 한글의 체계 = 52
    3) 한국어의 음성 = 62
    3. 결어 = 79
    개화기 서사양식의 분화과정과 반식민주의 담론의 성립 – 영웅 전기와 우화 풍자를 중심으로 – / 권영민
    1. 머리말 = 87
    2. 영웅 전기와 민족 주체의 담론 구성 = 90
    1) 장지연과 「애국부인전」 = 91
    2) 신채호의 「을지문덕」 = 95
    3. 우화 풍자와 식민주의 담론의 해체 = 100
    1) 우화적 공간과 통합된 세계 인식 = 100
    2) 훼손된 삶의 가치와 풍자 = 108
    4. 맺음말 = 118
    제2부 갑오개혁 전후 정치·경제의 변화
    駐日 朝鮮公使의 파견과 외교 활동(1887∼1894) / 한철호
    1. 머리말 = 127
    2. 주일 조선공사의 파견 배경 및 경위 = 129
    1) 李헌永의 임명과 李源兢의 파일 = 129
    2) 閔泳駿의 파견과 국서봉정 = 134
    3. 주일 조선공사관원의 구성 = 140
    1) 공사와 참찬관 = 141
    2) 서기관과 번역관 = 145
    4. 주일 조선공사의 외교 활동 = 150
    1) 조·일 양국 간의 현안 처리 = 150
    2) 근대적 제도와 문물 수용 = 154
    3) 朝奧條約의 체결 = 159
    4) 외교사절단의 접대 및 업무 지원 = 162
    5) 조선 관련 정보 수집 = 164
    5. 맺음말 = 166
    갑오개혁 전후 군사제도의 변화 – 海防制度와 근대적 해군창설 계획을 중심으로 – / 배항섭
    1. 머리말 = 173
    2. 개항 이전의 海防 軍事力 = 175
    1) 대원군 집권기 海防 軍事力의 강화 = 175
    2) 고종친정 초기 海防 軍事力의 약화 = 178
    3. 畿沿海防營의 설치와 이전 = 182
    1) 壬午軍亂 이후 청의 조선 海防 代擔 = 182
    2) 조선정부의 반발과 畿沿海防營의 설치 = 189
    3) 청의 간섭 심화와 海防營의 이전 = 193
    4. 三營體制로의 개편과 海防營의 廢置 = 201
    1) 〈兵船章程〉과 청의 조선연해 장악 = 201
    2) 군사 자주화 기도와 군제의 개편 = 203
    5. 海沿總制營의 설치와 海軍 軍事學校의 廢置 = 206
    1) 三道陸軍統禦營의 이전과 總制營의 설치 = 206
    2) 海軍 軍事學校의 창설 = 210
    3) 갑오개혁과 海軍 軍事學校의 폐치 = 217
    6. 맺음말 = 220
    갑오개혁기 근대적 조세제도 수립 시도와 지방사회의 대응 / 이윤상
    1. 머리말 = 225
    2. 군국기무처의 조세제도 개혁 = 226
    3. ‘김홍집·박영효 연립내각’의 조세수취제도 개혁 = 236
    4. 조세제도 개혁에 대한 지방사회의 대응 = 250
    5. 맺음말 = 260
    갑오개혁 이후 근대적 법령 제정과정 – 형사법을 중심으로 – / 도면회
    1. 머리말 = 265
    2. 근대적 형사법 체계의 도입 = 268
    1) 갑오개혁 이전 형사법 체계의 성격 = 268
    2) 근대적 형사법 체계의 도입 = 270
    3. 근대적 형사법 체계와 전통적 법체계와의 갈등 = 273
    1) 형사법 체계의 복고 동향 = 273
    2) 구형사법의 신식 형사법 체계로의 포괄 = 278
    4. 근대적 형사법 체계로의 개혁 지향 = 281
    1) 러일전쟁 이후 재판제도 개혁론 = 281
    2) 통감부의 형사정책과 형사 입법 = 284
    3) 「형법대전」 개정과정에서 나타난 근대성의 진전 = 288
    5. 식민지적 근대 형사법 체계의 형성 = 295
    1) 일본의 한국 합병노선과 사법권 피탈 = 295
    2) 식민지적 형사법 체계의 형성 = 296
    6. 맺음말 = 301
    대한제국기 입헌논의와 근대국가론 – 황제권과 권력구조의 변화를 중심으로 – / 왕현종
    1. 머리말 = 305
    2. 대한제국 초기 개혁논의와 皇帝權의 위상 = 307
    1) 19세기 말 立憲政體의 이해와 권력개편 = 307
    2) 황제즉위상소와 皇帝權의 위상 = 312
    3. 立憲政體論의 수용과 政體改革論의 구조 = 317
    1) 재일 유학생의 입헌정체 인식 = 317
    2) 유교지식인의 입헌이해와 하의원 설립론 = 323
    3) 독립협회의 입헌군주제론과 중추원 개편론 = 327
    4. 대한제국의 정치체제와 근대국가의 성격 = 331
    1) 권력구조 개편과 중추원의 위상 변화 = 331
    2) 大韓國 國制의 제정과 황제권의 재편 = 340
    5. 맺음말 = 346
    제3부 근대 초기 사회·문화의 양상
    개항기 지식인 金炳昱(1808∼1885)의 시세인식과 富强論 / 노대환
    1. 머리말 = 355
    2. 학문성향과 지방관 활동 = 356
    3. 시세인식과 대응론 = 363
    1) 丙寅洋擾期의 시세인식과 현실비판 = 363
    2) 丙子修好에 대한 인식과 內修外攘論 = 370
    3) 辛巳儒疏에 대한 인식과 東道西器論 = 376
    4. 「太平五策」에 나타난 富强策 = 383
    1) 「太平五策」의 구성과 내용 = 383
    2) 「太平五策」의 실현을 위한 노력 = 387
    5. 맺음말 = 391
    개화기 사회문화 변동과 종교인식 / 김종서
    1. 머리말 = 397
    2. 사회문화적 분화와 종교인식 = 398
    1) 교육 영역에서의 분화 = 402
    2) 의료 영역에서의 분화 = 404
    3) 정치 영역에서의 분화 = 405
    3. 신분제도의 변화와 종교인식 = 410
    4. 서구문화의 유입과 종교인식 = 413
    5. 맺음말 = 417
    개화기 기독교계 학교의 발달 – 소학교를 중심으로 – / 류방란
    1. 머리말 = 421
    2. 기독교의 수용과 교육 = 423
    3. 조선 기독교인들의 학교 설립 = 425
    4. 교육 기회의 확대 = 433
    5. 교육내용 = 435
    1) 유학 경서와 한역 교리서의 혼재와 분리 = 437
    2) 한글 문해 교육과 국사, 지리 교육 = 440
    6. 맺음말 = 442
    자강운동기 문명개화론의 일본 인식 – 일본유학생을 중심으로 – / 권태억
    1. 머리말 = 447
    2. 문명개화론과 일본·일본유학생 = 449
    3. 일본 인식의 실상 = 458
    1) 명치유신의 성공과 러일전쟁에서의 승전국 = 459
    2) 모범으로서의 일본 = 465
    3) 구미문명 수입국 및 과거 문화후진국으로서의 일본 = 469
    4. 일본 인식의 성격 및 위상 = 472
    5. 맺음말 = 478
    찾아보기 = 481